취업

퇴사하기 전에 고려할 사항 : 목표와 계획을 혼동하지 말자

하미(河美) 집사 2023. 1. 2. 17:09
반응형

퇴사를 할 때 고려할 사항들이 정말 많은데요. 퇴사를 할 때 근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내용을 한번 써보았어요

유튜브에 올라온 퇴사 영상들

 유튜브나 블로그에 정말 퇴사자 분이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는 영상이 정말 많아요. 각자의 경험에 근거해서 퇴사 때 고려해야 할 것들, 그리고 퇴사 이전과 이후의 변화에 대한 내용이 이었는데요.  제가 여러 편의 퇴사자 분들의 영상을 보니 공통된 내용이 있더라고요. 바로 감정적 준비를 해야 한다와 목표와 계획을 혼동하지 말자였어요.

감정적 준비를 해라
목표와 계획을 혼동하지 말라

 

감정적 준비

 대부분 회사에서 전념을 하다가 퇴직 혹은 퇴사를 하면, 먼저 스마트폰에 저장돼 있던 연락처는 비활성화가 되고, 먼저 연락오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자유롭지만 뭔가 허전한 느낌이 들죠. 활동력이 떨어지면서 자존감이 떨어질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일을 하다 보면 가족과 함께 시간이 부족해지죠. 어떻게 말을 걸어야 할지, 어떻게 대화를 진행해야 할지 몰라서 어색해질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퇴사 혹은 은퇴 대부분의 일들이 마음대로 진행되지 않을 때가 많은데요. 이렇게 되면 스스로 의기소침해지는데요. 이럴 스스로 무너지지 않도록 미리 미리 감정적으로 준비를 해둬 야합니다. 한 번에성공을 해야겠다고 생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퇴사 전에 세웠던 목표와 계획들을 다시 살펴는 것만으로도 감정 관리에 많은 도움이 되는데요. 그런데 이때, 목표만 나열된 내용만을 다시 보게 되면 한번 더 좌절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목표달성을 위한 단계별 실행계획이 필요하죠. 하지만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적인 계획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세부적인 계획이란게 뭘까요?

 

퇴사-퇴직-준비

 

목표와 계획을 혼동하지 말자

현재 70% 달성

 대부분 퇴사하기 전에 목표를 설정합니다. 그런데 제는 계획이 없거나 목표를 계획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거 같아요. 목표를 정했다면, 이에 따른 세부적인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목표달성을 위한 첫번째 스텝으로 이걸 해야겠어, 그 다음 두 번째스텝은 이것, 세번째 스텝 단계별로 계획을 세워서 실행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창업이 목표라면, 1 단계 :자료수집 분석, 2 단계 : 창업 교육받기, 3 단계 창업 : 관련 업종에서 아르바이트하기 단계별로 계획을 세우고 실해야 합니다.

 

누군가 퇴직 목표에 대해서 물어 봤을 이렇게 대답할 있어야 합니다. 퇴직 현재 70% 정도로 목표를 달성했어라구요!

 

 

사진 출처

출처 Freepik : https://kr.freepik.com/